펜탁심로 예방 가능한

감염증은 무엇입니까?

디프테리아

디프테리아(Corynebacterium diphtheriae)에 의해서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전염병으로, 신체 접촉이나 호흡기를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됩니다. 디프테리아의 가장 흔한 발생 부위는 인후와 편도이며 초기에는 피로, 인두통, 식욕 감퇴, 미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1 백신이 도입되기 전 디프테리아는 전 세계적으로 아동 사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지만 DTwP 혼합백신의 성공적인 사용으로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에서는 디프테리아 발생이 현저히 낮아졌습니다.2

파상풍

파상풍균(Clostridium tetani)이 생산하는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질환으로 골격근의 경직과 근육수축이 발생합니다. 파상풍균은 토양 등의 환경에 존재하며 오염된 상처를 통해 유입됩니다.1 신생아 파상풍은 개발도상국의 농촌지역에 흔히 발생하는데 1988년 한 해 787,000명의 신생아가 파상풍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3

백일해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한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여름과 가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전염성이 매우 높아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합니다. 백일해는 기침이나 재채기 등에 의한 호흡기 전파가 주된 경로이며,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됩니다. 백일해의 초기 증상은 콧물, 재채기, 미열, 경미한 기침 등 감기와 비슷합니다. 신생아의 경우 심한 발작적인 기침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입니다.1

폴리오

소아마비를 뜻하는 폴리오는 소아에게 하지 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 바이러스(Poliovirus)에 의한 질환입니다.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감염되며, 특히 분변-경구 경로로 감염됩니다. 임상적으로 95% 이상이 별다른 증상 없이 감염됐다가 회복되지만, 1% 미만에서 이완성 마비가 나타납니다. 아직까지 소아마비의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며, 이환된 신경의 급성 증상에 대해서는 보존적 치료를 시행하고, 증상이 호전된 후에는 치유되지 않는 마비에 대한 재활치료를 합니다.4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비형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비형균(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Hib)은 뇌수막염, 후두개염, 폐렴 등 침습성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되며, 5세 미만 소아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Hib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분비되는 호흡기 비말에 의해서 상기도를 통해 몸 속으로 침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ib에 의한 침습 질환은 여러 장기를 침범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형태로는 수막염, 후두개염, 폐렴, 관절염 및 봉와직염 등이 있습니다. 5

References
1.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예방접종 길잡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 Available at (https: //nip.cdc.go.kr/irgd/index.html) Accessed on July -2024th, 2017
2.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제5판). Chapter8. 디프테리아. Apr. 2017
3.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제5판). Chapter9. 파상풍. Apr. 2017
4.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예방접종 길잡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폴리오’. Available at (https: //nip.cdc.go.kr/irgd/index.html) Accessed on July 24th, 2017
5.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예방접종 길잡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b형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Available at (https://nip.cdc.go.kr/irgd/index.html) Accessed on July 24th, 2017

사노피 파스퇴르(주)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35 11층 Tel. 02) 2136-9500 Fax. 02) 2136-9585
Copyright © 2019 Sanofi Pasteur Ltd. All rights reserved
  

광고심의필 : 2019-1485-102100

   MAT-KR-2001557-1.0-11/2020